Elden Ring PC version(Steam) stuttering issue solved
エルデンリング PC版(Steam)のスタッター(Stutter)問題の解決
엑스박스로 플레이하던 엘든링의 스팀판도 구매했습니다. PC판이라면 더 좋은 그래픽과 프레임으로 즐길 수 있겠지만 그것보다는 엑스박스의 영상캡쳐보다 OBS가 더 나을 것 같았기 때문입니다. XSS(엑스박스 시리즈 S)로는 720p 녹화는 4분, 1080p 녹화는 3분까지 가능하고 지나간 플레이는 1분까지 저장 가능합니다. 아마 XSX(엑스박스 시리즈 X)로도 동일할 것 같은데, 게임을 플레이하면서 몇 분마다 레코딩을 켜주는게 여간 성가신게 아니더라고요.
I also bought the Steam version of Elden Ring, which I used to play on Xbox. If it was the PC version, I would be able to enjoy it with better graphics and frames, and I also thought OBS would be better than Xbox's video capture. With the XSS (Xbox Series S), 720p recording can be done for up to 4 minutes, 1080p recording for up to 3 minutes, and even save the last 1 minute you played. It's probably the same with the XSX (Xbox Series X), but it's really annoying having to turn on the recording every few minutes while playing the game.
Xboxでプレイしていたエルデンリングのスチーム(Steam)版も購入しました。PC版なら、より良いグラフィックとフレームで楽しめるでしょうが、それよりはXboxの映像キャプチャよりOBSが良さそうに見えたからです。XSS(XboxシリーズS)では720p録画は4分、1080p録画は3分まで可能で、最近1分間のプレイも録画出来ます。おそらくXSX(XboxシリーズX)でも同じでしょう。ゲームをプレイしながら数分ごとに録画をオンにするのは非常に面倒です。
STUTTERING
스터터링(Stuttering)은 GPU(그래픽 처리 장치)와 디스플레이 사이에 불규칙한 지연이 발생하면서 화면이 부드럽게 이어지지 않고 끊어지는 현상입니다. 렉(Lag)이라고도 합니다만 렉은 네트워크 지연 문제로 발생하는 끊김이므로 스터터링과는 다른 현상입니다. 참고로 멈춤 현상은 프리징(Freezing), 화면이 찢어지는 현상은 티어링(Tearing)이라고 합니다.
Stuttering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screen is stuttered instead of smooth as a result of irregular delays between the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and the display. It is also called lag, but lag is a phenomenon that is different from stuttering because it is an interruption caused by a network delay problem. In addition, the freezing phenomenon is called freezing, and the screen tearing phenomenon is called tearing.
スタッター(Stuttering)とは、GPU(グラフィックス処理装置)とディスプレイの間に不規則な遅延が発生し、画面がスムーズに繋がらず途切れる現象です。ラグとも呼ばれますが、ラグはネットワーク遅延の問題で発生する途切れなので、スタッターとは異なる現象です。ちなみに停止現象はフリージング(Freezing)、画面が破れる現象はティアリング(Tearing)と呼ばれます。
스팀으로 엘든링을 플레이해보니 이런 스터터링이 게임 처음부터 꾸준히 나타나고 5, 10분 지날수록 프리징까지 더해져서 환불 욕구가 올라올 정도였습니다. OBS 녹화를 켜놔서 그런줄 알았더니 OBS를 꺼도 똑같더라고요. 발매 후 지금까지도 많은 분들이 엘든링을 PC로 즐기고 있기 때문에 당연히 해결법이 있으리라 생각하고서 구글링을 해봤습니다.
When I played Elden Ring on Steam, this kind of stuttering appeared steadily from the beginning of the game, and as 5 or 10 minutes passed, it added to the freezing, so the desire for a refund increased. I thought it was because I had OBS recording turned on, but it was the same even when I turned off OBS. After release, many people are still enjoying Elden Ring on PC, so I googled it thinking that there must be a solution.
スチームでエルデンリングをプレイしてみると、このようなスタッターがゲームの最初から着実に現れ、5、10分経つほどフリージングまで加わって払い戻しの欲求が上がるほどでした。OBS録画をオンにしたのが原因かと思ってOBSをオフしても同じだったんです。発売後、今でも多くの方々がエルデンリングをパソコンで楽しんでいるので、当然解決策があると思って検索をしてみました。
FIX IT
검색으로 찾아낸 해결법은 두 가지입니다. 사용자마다 해결되는 방법이 다른 것 같아서 두 가지 방법을 다 안내하겠습니다. 적용한 PC의 OS는 윈도우11입니다.
There are two workarounds found by searching. Each user seems to have a different solution, so I'll walk you through both methods. The OS I tried is Windows 11.
検索で見つけた解決策は2つあります。ユーザーごとに解決する方法が異なるようで、両方の方法を案内します。試してみたPCのOSはWindows11です。
FIX 1 - Exploit Protection
첫번째 방법은 윈도우OS의 Exploit Protection의 옵션을 변경하는 것입니다.
The first way is to change the option of Exploit Protection in Windows OS.
1番目の方法は、WindowsOSのExploit Protectionのオプションを変更することです。
윈도우 키를 누른 뒤 'Exploit protection' 혹은 'cfg'를 입력하면 이렇게 Exploit Protection 설정이 검색 결과로 나타납니다. 실행해줍니다.
If you press the Windows key and type 'Exploit protection' or 'cfg', the Exploit Protection settings appear as a search result. run it.
Windowsキーを押した後、「Exploit protection」または「cfg」と入力すると、このようにExploit Protection設定が検索結果として表示されます。実行します。
프로그램 설정 탭에서 '프로그램을 추가해 사용자 지정' → '정확한 파일 경로 선택'을 순서대로 클릭합니다. 파일 선택 화면이 나타나면 엘든링이 설치된 폴더에서 'eldenring.exe'를 찾아 선택해줍니다.
On the Program Settings tab, click 'Add a program to customize' → 'Choose the correct file path'. When the file selection screen appears, find 'eldenring.exe' in the folder where Eldenring is installed and select it.
[プログラム設定]タブで、[プログラムを追加してカスタマイズ] → [正しいファイルパスを選択]を順にクリックします。ファイル選択画面が表示されたら、エルデンリングがインストールされているフォルダで「eldenring.exe」を見つけて選択します。
흐름 제어 보호(CFG) 옵션을 찾아서 '시스템 설정 재정의'를 체크하고 그 아래 옵션을 '끔'으로 합니다. 적용을 누르고 컴퓨터를 리부팅해줍니다.
Find the Control flow guard(CFG) option, check 'Override system settings' and set the option under it to 'Off'. Click Apply and reboot your computer.
制御フローガード(CFG)オプションを見つけて、「システム設定のオーバーライド」をチェックし、その下のオプションを「オフ」にします。 [適用]をクリックしてコンピュータを再起動します。
RESULT
이 방법은 다이렉트X12로 개발된 게임에서 나타나는 스터터링 현상의 상당수를 해결할 수 있다고 합니다. 물론 효과가 없거나 더 심해졌다는 사람도 있습니다. 제 경우가 그렇습니다. 오히려 스터터링과 프리징이 더 심해져서 위에서 손 댄 옵션을 원래대로 돌려놓고 아래의 방법을 적용해보았습니다.
This method is said to be able to solve many of the stuttering phenomena that occur in games developed with DirectX12. Of course, some say it doesn't work or it gets worse. That's my case. Rather, the stuttering and freezing became more severe, so I returned the options I touched above and tried the method below.
この方法は、DirectX12で開発されたゲームで現れるスタッター現象の多くを解決できると言います。もちろん、うまくいかなかったり、もっとひどくなった人もいます。私の場合がそうです。むしろ、スタッターとフリージングがさらにひどくなり、上で触れたオプションを返して、下の方法を試してみました。
FIX 2 - NVIDIA control panel
두번째 방법은 엔비디아 제어판의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입니다. 라데온 사용자도 비슷한 옵션이 있을 것 같으니 확인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The second way is to change the settings in the Nvidia Control Panel. Radeon users seem to have a similar option, so it would be good to check it out.
2番目の方法はNVIDIAコントロールパネルの設定を変更する方法です。Radeonユーザーにも同様のオプションがあるようですので、確認してみてください。
시스템 트레이에서 NVIDIA 제어판을 열거나 윈도우 앱 중 NVIDIA Control Panel을 찾아 실행합니다.
Open the NVIDIA Control Panel in the system tray or find and launch the NVIDIA Control Panel in Windows Apps.
システムトレイでNVIDIAコントロールパネルを開くか、WindowsアプリのNVIDIA Control Panelを見つけて起動します。
제어판의 3D 설정 - 3D 설정 관리를 보면 쉐이더 캐시 사이즈는 '드라이버 기본값', 스레드 최적화는 '자동'으로 되어있을 텐데요. 이걸 각각 '무제한', '끄기'로 변경해줍니다. 쉐이더 캐시 사이즈 설정만 바꿔주면 된다는 글도 있었지만 저는 두개 다 변경해주었습니다.
If you look at 3D Settings in Control Panel - Manage 3D Settings, the shader cache size is set to 'Driver Default' and Thread Optimization is set to 'Auto'. Change this to 'Unlimited' and 'Off' respectively. There were also articles saying that you only need to change the shader cache size setting, but I changed both.
コントロールパネルの3D設定 - 3D設定管理を見ると、シェーダキャッシュサイズは「ドライバのデフォルト」、スレッド最適化は「自動」になっているはずです。 これをそれぞれ「無制限」、「オフ」に変更してくれます。シェーダキャッシュサイズの設定だけを変更しても良いという文もありましたが、私は二つとも変更してくれました。
RESULT
이후 테스트를 위해 플레이를 했는데 테스트고 뭐고 잊은 채 수시간 동안 플레이했습니다. 스터터링이 있었는지 기억조차 안나는 걸 보니 없었나봅니다. 라데온도 아마 유사한 옵션이 있을 것 같은데 적용해보시면 어떨까 싶네요.
After that, I played it for testing and forgot about it and played it for hours. I don't even remember if there was stuttering, so I guess there wasn't. Radeon probably has a similar option, so you should try it.
その後テストのためにプレイをしましたが、テストは忘れたまま数時間プレイしました。スタッターがあったのか覚えていないほど楽にプレイしました。Radeonもおそらく同様のオプションがあるようですので、試してみればどうですか。
참고로 플레이는 문제 없었는데 OBS 녹화를 켜니까 몇 분 후부터 스터터링이 발생했습니다. OBS가 원래 사양을 많이 먹나보네요.
For reference, the play was fine, but when I turned on OBS recording, stuttering started a few minutes later. It seems that OBS is taking up a lot of resources.
ちなみにプレイは問題ありませんでしたが、OBS録画をオンにしてから数分後からスタッターが発生しました。OBSが多くのリソースを使用するようです。
'Game > Elden 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별된 설원 가는 법 & 지도 획득 (0) | 2022.06.15 |
---|---|
성수의 비부절(좌) 얻기 (0) | 2022.06.15 |
성수의 비부절(우) 얻기 (0) | 2022.06.15 |
재의 도읍 로데일부터 엔딩까지 (0) | 2022.06.13 |
서 알터 신수탑 가기 (0) | 2022.06.13 |
댓글